We have 정월대보름[JeongwolDaeboreum] which is the day of the first full moon of the lunar year(Feb 28 this year). we bite on a nut to ward off boils.(A long time ago, many people died because of boil.) and we eat 봄나물(cooked and seasoned Vegetables of spring), as well. Somehow it's similar with your "노루즈". lol
"미안한데(informal)" --> "죄송한데"(Formal form) :wink:
"아닌가 싶다"(I will explain you as much as I know)
1.sometimes we use this phrase to tell something directly to someone.
2. we use it when we are not sure.
For example, :mad: 1. "당신 행동이 너무 빗나가네요" (Direct)
당신 행동이 너무 빗나가는게 아닌가 싶어요.(Indirct/less direct)
2. you ask someone "can I smoke here?
someone says : 여기는 흡연 구역이 아닌가 싶은데요.
If someone knows that place well. -->여기는 흡연 구역이 아니예요.:grin:
Comments
Hide안녕하세요? 윤세화입니다. 드디어 새해가 다가오네요. 여러분께서는 새해 첫날을 어떻게 보내셨나요? 내년에 할 각오나 다짐들은 생각하셨나요? 저도 항상 새해에는 마음이 더 즐거워지는데요. 아무래도 새로운 마음으로 시작할 수 있어서 그런 게 아닌가 싶습니다. 벌써 미국에서 새해를 맞이한지도 2년째가 접어드네요. 한국에서는 새해가 두 번이 있죠? 다들 잘 알고 계시죠? 새해를 한국말로는 설날이라고 하는데요. 이 설날을 한국에서는 두 개를 가지고 있답니다. 한국말로는 신정과 구정이라고 합니다. 이제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신정을 쇠기는 하지만 아직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구정을 진짜 설날이라고 생각한답니다. 그런 이유로 구정 연휴가 신정보다 훨씬 더 길어요. 구정 때는 추석처럼 대부분 사람들이 고향으로 돌아가서 가족들과 함께 시간을 보낸답니다. 저 역시 항상 모든 가족들이 모여서 조상들에게 차례도 지내고, 맛있는 음식을 먹었던 생각이 나네요. 저의 큰집은 부산이어서 매년 구정에는 부산에 다녀왔던 생각이 납니다. 사실 처음에 미국에 와서 구정을 “Chinese New Year”라고 표현하는 걸 보고, 왜 “Korean new year” 라고는 하지 않을까 했답니다. 내년에도 올해처럼 새해를 타임스퀘어에서 맞이하지 않을까 합니다. 작년에 처음으로 타임스퀘어에서 새해를 맞이했는데요. 날씨가 정말 추운 날씨임에도 불구하고 정말 많은 사람들이 길거리에서 새해를 기다렸던 게 참 기억에 남네요. 커다란 전광판에서는 매시간마다 시간을 보여줘서 사람들을 더욱 흥겹게 만들었고요. 많은 공연들이 있어서 기다리는 것이 지루하지 않았답니다. 경찰들이 워낙 경계를 철저하게 해서 타임스퀘어에 있는 호텔방에 들어가는 것도 쉽지 않았습니다. 마지막 5, 4, 3,2,1 “Happy New Year”하고 하늘에서 많은 색종이 가루들이 떨어지고, 사람들은 서로 껴안으며 즐거워하고, 참.. 저에게는 평생 기억에 남을 일인 것 같아요. 항상 평생에 한번쯤은 뉴욕 타임스퀘어에서 새해를 맞이하고 싶었는데 그걸 이룬 것 같아서 더 즐거웠고요. 여러분은 기억에 남는 새해가 있었나요? 어떤 일들이 있었나요? 즐거운 경험들 저에게 말씀해주시지 않겠어요? 여러분의 재미있는 이야기 기다릴게요.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감사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For more explanation:grin:~
:wink:No 1 Meaning. - to advise someone indirectly.
:neutral:당신 행동이 너무 빗나가는게 아닌가 싶어요.(Indirct/less direct);
I want to say...that your behaviour is way out there. (As I use yours,)
To avoid saying ":mad:당신 행동이 너무 빗나가고 있어요!!"
No 2 Meaning - to answer without confidence or assurance.
:???:여기는 흡연 구역이 아닌가 싶은데요.(assurance40%)
:cool:여기는 흡연 구역이 아닌 것 같은데요.(assurance 70%)
But I think when we say "여기는 흡연 구역이 아닌가 싶은데요",
following sentence is "잘 모르겠네요."
아하, "아닌가 싶다"라는 표현은 영어의 "I want to say that it's not..."라는 표현과 비슷한가 보네요. KoreanClass101.com님의 예문을 해석해 보려면...
"Your behaviour is way out there" --> "I want to say that your behaviour isn't way out there."
"This is a no-smoking area" --> "I want to say that this isn't a smoking area... [but I'm not 100% sure]"
재미있고 이해하기가 쉬운 설명 고맙습니다! :smile:
저는 밖에서 하는 파티에서 새해를 맞이한 적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저는 추위를 잘 타서 밖에서 새해를 맞이하는 것 재미있는 걸로 여기지 않아요. 만약 앞으로 새해 때 저는 열대의 나라나 남반구의 나라에 있으면 바깥에 하는 파티를 참여할까 할 거에요. 캐나다나 한국 같은 12월말 추운 나라에서는... 됐습니다. ㅎㅎ
koreanclass 님이 설명을 잘해주셨네요
Eric 님
안녕하세요
글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항상 다른 나라 문화를 배우는것은 참 즐거운것 같아요.
좋은 이야기 감사드려요 :wink:
축해거든요- 축하하거든요
로 말씀하시면 더 좋을듯합니다
에릭님
화이팅~
실수들 대문에 죄송합니다.
설명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cool:
We have 정월대보름[JeongwolDaeboreum] which is the day of the first full moon of the lunar year(Feb 28 this year). we bite on a nut to ward off boils.(A long time ago, many people died because of boil.) and we eat 봄나물(cooked and seasoned Vegetables of spring), as well. Somehow it's similar with your "노루즈". lol
"미안한데(informal)" --> "죄송한데"(Formal form) :wink:
"아닌가 싶다"(I will explain you as much as I know)
1.sometimes we use this phrase to tell something directly to someone.
2. we use it when we are not sure.
For example, :mad: 1. "당신 행동이 너무 빗나가네요" (Direct)
당신 행동이 너무 빗나가는게 아닌가 싶어요.(Indirct/less direct)
2. you ask someone "can I smoke here?
someone says : 여기는 흡연 구역이 아닌가 싶은데요.
If someone knows that place well. -->여기는 흡연 구역이 아니예요.:grin: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두 번) :grin:. 아, 늦게 축하한다고 말했죠.
우아, 첫날, 신정, 신년, 설날, 구정, 등등 새해와 관계 단어들이 정말 많이 있네요! 사실은 첫날 두 개 잘 이생 이잖아요: 예를 들어 신정, 구정, 하지, 동지. 어떤 사람들은 작년의 종말을 슬퍼하고 어떤 사람들이 새해의 시작을 축해거든요. 글쎄 첫날 치고는 어느 날이 맞은 선택 인가요? 생각하면 제멋대로인 것처럼 보이죠. 그래니까 그것은 제일 중요하지 않아요.
아무튼 저도 신정과 구정을 축하해고. 이중 과세(二重過歲 )라고 해죠? 사실은 저희 가족은 매년 거위 이란의 친구들과 함께 “노루즈”도 (NoRuz/NowRuz/Norooz) 축하해요 (Salam, Massi-jon!). 노루즈에 견과와 말린 과일을 먹어 이야기를 해 봄의 시작을 축하한다. 그래서 “이중 과세”보다 “삼중 과세 (三重過歲)” 말할까요? 조금 설렁하죠. :mrgreen:
미안한데, 질문 하나 있어요. “아닌가 싶다”를 설명해 주시겠어요? 번역을 읽었는데도 문법 구조를 아직도 잘 몰랐어요. :oops:
Massi 님
덕분에 많이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grin:
안녕하세요 윤세화님
I think you are right. I should write "campfire"
Thank you.:smile:
:grin: 항상 친절하신 조지님
감사합니다.!! :lol:
아~ 그렇군요
조지님 감사합니다 :lol:
Contemporary American connotations:
Campfire = small outdoor fire usually enjoyed by a small group
Bonfire = is like a campfire, outdoors, but usually larger or a huge fire. Bonfires are usually part of a public expression or ceremony. Not as common in the US as they used to be.
Massi 님 안녕하세요
이란의 풍습은 그렇군요
잘 배웠습니다
Bon fire 가 무엇인가요? Camp fire 와 비슷한가요?
참 흥미로운 ceremony 이네요. 감사히 잘 배웠습니다.
George 님
덕분에 더 힘이 난답니다. 감사합니다.
Tim 님
감사합니다. 팀 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Massi님 :lol:your ceremony sounds great!!
I want to join it. And I will say "Sorkhi-e to az man" "Zardi-e man az to"
In New Year's Day, my family get along and My family give well wishing remarks each other. I love this time.
In this time, we alway say this":grin:항상 건강하세요." which means "Be healthy always."
링고님! 한국의 어머니들은 two new year days을 싫어해요. 해야할 일이 많거든요... ㅎㅎㅎ Korean moms don't like 2 new year days because of a lot of things to do. ㅎㅎㅎ
:wink:
Happy new year~~! 윤세화 선생님~~!:razz:
윤 선생님,
Thanks again! Your audio lessons are always worth the wait.
George
i wish we had two new year days too
안녕하세요 윤세화님
Thank you for new lesson.
I would like to explain one of Iranian ceremony.
A tradition of the new year celebrations is "Chahar-Shanbeh Soori". It takes place before New Year, at the last Wednesday of the old year, well actually Tuesday night! People set up bon fire, young and old leap over the fires with songs and gestures of merriment like:
(Sorkhi-e to az man) Give me your beautiful red color
(Zardi-e man az to) And take back my sickly pallor!
It means: I will give you my yellow color (sign of sickness), and you give me your fiery red color (sign of healthiness). This is a purification rite and 'suri' itself means red and fiery.
:sm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