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logue

Vocabulary (Review)

Learn New Words FAST with this Lesson’s Vocab Review List

Get this lesson’s key vocab, their translations and pronunciations. Sign up for your Free Lifetime Account Now and get 7 Days of Premium Access including this feature.

Or sign up using Facebook
Already a Member?

Lesson Transcript

한국의 아인슈타인 – 장영실.
오디오 블로그 시즌 5 레슨 6에서 우리는 훈민정음, 즉 한글을 창조한 세종대왕에 관해서 이야기했었습니다.
세종 대왕은 백성의 입장에서 백성의 믿음과 신뢰를 얻기 위해 온 힘을 다한 한국의 아버지였습니다.
백성의 믿음과 신뢰는 그들이 행복했을 때 오는 것임을 잘 알았던 세종은 백성의 의.식.주의 발전에 최선을 다하기도 하였지요.
그리하여 그 시기에 많은 과학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게 되었는데요…
그 세종의 옆에는 한국의 과학자 – 장영실이라는 인물이 있었습니다.
역사상 뛰어난 업적을 남긴 사람들을 살펴볼 때 신분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장영실이라는 인물이 대단한 이유는 그 시대에 가장 천대받던 노비라는 신분적인 한계를 깨고 여러 백성들에게 쓰일 수 있는 실용적이고 유용한 한국 과학의 발전을 이뤄냈다는 것입니다.
그럼 장영실의 업적을 하나하나 짚어볼까요...
첫째, 한국의 측각기 - ‘혼천의’.
대대적인 천문의기와 기상의기의 제작사업이 1432년에 세종의 특수한 명에 의해 시작되게 되었습니다.
당시 장영실은 여러 가지 천문의기의 제작을 세종의 엄청난 총애를 받아 지시.감독 하게 되었는데요...
이 ‘혼천의’의 제작과 완성은 쉬운 일이 아니어서 세종은 ‘혼천의’의 완성을 위해 장영실을 중국으로 파견시켰다고 합니다.
급기야 다음 해인 1433년 한국의 측각기로 유명한 ‘혼천의’ 제작에 착수하게 되었고 이듬해인 1434년에 ‘혼천의’를 완성하게 됩니다.
‘혼천의’란 일종의 측각기 즉, “an angle meter”로 적도좌표를 관측하고,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는 데 쓰이는 천문의기 였습니다.
이 ‘혼천의’로 인해 백성들의 농업 발전에 가속도가 붙게 되었으며 그 덕분에 곡식의 생산량과 노동의 효율성이 극대화되었다는 것은 아주 쉽게 예측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둘째, 한국의 물시계 – ‘자격루.’
당시 중국에서는 물시계가 이미 있어서 정확한 시간을 측정할 수 있었다고 합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한국에는 이러한 특정한 기기가 없어서 많은 백성들이 일상생활에서의 불편함을 느꼈다고 하네요.
백성들이 느끼는 불편함을 몹시 안타까워하던 세종은 ‘물시계’ 제작을 명령하게 되는데요...
그 임무의 지휘와 감독을 맡은 사람이 오늘의 인물, 장영실입니다.
한국의 기록에 의하면 장영실은 모두 3종류의 물시계를 만든 것으로 알려집니다.
첫번째 물시계는 물방울이 떨어지는 양을 측정하여 시간에 따른 부피 변화로서 아주 단순하게 시간을 측정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뒤에 두번째로 만든 물시계가 한국의 물시계로 잘 알려진 ‘자격루’입니다.
‘자격루’의 작용 원리를 설명하기가 너무 까다롭고 어려워서 자세한 설명은 못 하겠지만 오늘날의 시계와 같이 ‘눈금’으로 시간을 알 수 있게 하는 장치라고 하네요.
그 원리가 까다롭고 정밀해서 장영실이 아니면 아무도 그 ‘자격루’를 정확히 사용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세계최초의 측우기 – 장영실의 ‘측우기’.
장영실은 1442년 세계최초의 ‘측우기’를 만들어내는 데 성공을 합니다.
장영실이 만든 측우기는 서양의 카스텔리가 1639년에 만든 측우기보다 약 200년이나 앞섰으니 정말 대단하다고 볼 수 있지요.
그리고 무엇보다 더 놀라운 것은 오늘날의 WMO (세계기상기구)가 정한 측우기의 기준에도 뒤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정말 놀랍지 않으세요?
이 측우기로 당시에 많은 백성들은 한국 농업의 발전을 이뤄냈다고 합니다.
청취자 여러분, 전 이 글을 쓰면서 느끼는 바가 큽니다.
비록 노비의 신분으로 태어났음에도 신분의 벽을 깨고 세종대왕의 총애를 한몸에 받던 장영실은 “상황과 환경을 탓하는 말라”라고 저에게 말을 하는 것 같습니다.
또한 ‘혼천의’, ‘자격루’ 그리고 ‘측우기’등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과학기기를 발명해낸 장영실은 “실용적이고 유용한 한국어 수업들을 많이 만들어라”라고 저에게 말을 던지는 것 같기도 하고요.
여러분, 우리들도 상황과 환경을 탓하지 말고 더욱 열심히 한국어 공부를 하는 것이 어떨까요?
여러분 저도 힘을 낼테니 여러분도 힘내세요.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Comments

H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