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공자 – 퇴계 이황 |
여러분은 중국의 공자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 |
그가 그렇게도 유명한 이유는 그의 사상과 깨달음이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이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
한국에도 공자못지 않은 유명한 학자가 있는데요... |
그가 바로 오늘의 인물 – 퇴계 이황입니다. |
그의 인품과 삶의 자세를 통해 그가 왜 중국의 공자 못지 않은 인물인가를 여러분들에게 보여줄 것이며, 그의 핵심 사상과 교육론을 통해서 그가 우리들에게 주는 교훈을 찾고자 합니다. 참, 어려운 한자어와 이론들이 많이 있으니 주의해서 들어주세요. |
먼저, 역사상 유명한 학자들의 공통점은 그들의 ‘군자같은 인품’에 있습니다. |
여기 이황의 인품을 잘 말해주는 인용구가 있습니다. |
“까다롭지 않고 명백한 것은 선생의 ‘학문’이요, 공명정대한 것은 선생의 ‘도’요, 봄바람처럼 부드럽고 상서로운 구름과 같은 것은 선생의 ‘덕’이요, 베나 무명처럼 절박하고 콩이나 수수처럼 담백한 것은 선생의 ‘글’이다. |
무겁기는 산악과 같고 깊기는 연못과 같았으나 바라보면 덕을 이룬 군자임을 알 수 있었다.” |
이 인용구는 이황의 인품이 얼마나 깊은 지에 대해서 잘 말해주고 있습니다. |
둘째, 인간 퇴계 이황의 삶의 자세는 ‘검소와 겸손’에 있습니다. |
선생은 천성이 호화스러운 것보다는 검소하고, 잘난 척하기보다는 항상 겸손하였으며, 세상에 나아가서 부귀영화를 누리기보다는 자연과 함께 살기를 좋아했으며, 어지러운 정국에 뛰어들어 권력을 휘두르기보다는 스스로 ‘도’와 ‘덕’을 쌓아가는 실천의 삶을 살기를 원했습니다. |
여기 퇴계이황이 부와 권력을 마다하고 쓴 시가 있습니다. |
아늑한 오막살이 일이 없는데... |
도서만 네 벽에 가득하도다. |
옛 사람은 여기에 있지 않으나... |
그 말의 남은 향기 그윽도 해라. |
이 시는 부귀영화를 꺼리고 자연과 함께하고 싶은 그의 삶의 의지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
셋째, 선생의 사상 중 가장 핵심 사상인 ‘이기론’과 ‘심정성’에 대해서 간략히 말해보겠습니다. |
이‘이기론’이란 인간과 사물의 존재를 그 구조와 근원에서 ‘이’와 ‘기’의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입니다. |
이것은 특히 인간의 ‘심성정’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적용이 됩니다. |
‘심’은 인간의 마음을 뜻하며, ‘성’은 인간의 성품 그리고 ‘정’은 인간의 감정을 뜻합니다. |
즉, ‘심성정’은 인간의 마음을 ‘성품’과 ‘감정’이라는 두 가지의 주체로 파악을 하였으며, ‘성품’을 마음의 본체 그리고 ‘감정’을 마음의 작용으로 인식함으로써 인간의 마음이라는 존재에 대해서 설명을 잘 해주고 있습니다. |
저도 이 글을 쓰면서 여러분 덕분에 ‘이기론’과 ‘심성정’에 대해 많은 공부를 하게 되었네요. |
마지막으로, 퇴계 이황의 ‘교육론’에 대해서 말해 보겠습니다. |
퇴계 이황은 교육론의 목적을 ‘지식’에 두지 않았습니다. |
그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실천', ‘실천’하는 교육 즉, 체험과 경험으로 얻는 교육을 ‘참 교육'이라 했습니다. |
그는 실천을 게을리하는 교육은 위험한 학문이라고 언급을 합니다. |
머리속에는 많은 지식이 있지만, 행동은 차라리 배우지 못했던 옛날사람들보다도 못한 오늘날의 많은 아이들과 청소년들, 그리고 심지어 어른들까지... |
이 사회적인 문제를 퇴계이황은 이미 수백년전에 많은 학자들과 백성들에게 경고하고 알려주고 있었습니다. |
퇴계 이황의 인품, 삶의 자세, 그의 사상과 교육론을 잘 살펴보면 그가 보통 인물이 아니라는 것을 잘 알수 있습니다. |
전 개인적으로 그의 가르침과 깨달음에 전적으로 동감을 합니다. |
저도 ‘겸손’의 미덕과 ‘참교육’의 자세를 가지고 KoreanClass101.com 여러분께 다가 갈 것을 다시 한번 약속드립니다. |
마지막으로 평화로운 퇴계이황의 시를 끝으로 이글을 마치겠습니다. |
매화 고목에는 옥 향기가 가득하고... |
나무 밖에는 얼음 같은 둥근 달이 밝게 도네. |
엷은 구름 벗어지길 기다리다... |
맑은 기운 못 이겨서 고산에서 밤을 새네. |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Comments
Hide